“아파트 33평 면적(84 제곱미터), 오피스텔 84 제곱미터가 달라요.” 오피스텔 중개업무를 일을 하면서 고객님들로 부터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. 그래서 33평은 몇 m²인지, 아파트와 오피스텔 면적차이 무엇인지, 쉽고 확실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평은 익숙하지만, 제곱미터가 공식 단위입니다.
‘우리 집은 24평’, ‘신혼집은 33평’
우리는 어릴 적부터 평 단위로 면적을 사용했습니다.
하지만 부동산 계약서나 청약 안내문을 보면 모두 제곱미터 m² 기준입니다.
1제곱미터는 가로 1미터, 세로 1미터인 정사각형의 면적으로 국제 표준 단위이기 대문에 공식 문서에는 모두 제곱미터가 사용됩니다.
⚠️ 꿀팁 : 1평은 정확히 3.3058m² 이지만, 실생활에선 1평 ≒ 3.3m²로 기억하면 훨씬 편합니다
2. 33평 면적은 몇 제곱미터? 간단한 변환 공식.
- 평수 × 3.3 = 제곱미터
- 제곱미터 ÷ 3.3 = 평수
예를 들어 33평 × 3.3 = 약 108.9 m² 입니다.
즉, 아파트 33평 면적은 제곱미터로 약 109m² 정도라고 보면 되죠
반대로 84m² ÷ 3.3 = 약 25.5평으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.
-추천글 : 부동산계약서 도장 찍기 전, 꼭 알아야 할 6가지 함정
3. 인테리어 공사할 때 가끔 ‘헤베’를 사용합니다.
혹시 ” 이 집 전용면적 30헤베입니다”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?
‘헤베’는 일본식 표현으로, 사실 제곱미터(m²)와 동일한 단위입니다.
다만 공식적인 단위는 아니기 때문에 문서나 계약서에 사용되지 않아요.
중개사나 인테리어 업체, 건설 현장에서는 구어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라고 보면 됩니다.
⚠️ 꿀팁 : ‘헤베’는 ‘제곱미터’와 같다.’
4. 네이버만 검색해도 바로 변환됩니다.
요즘은 계산기보다 빠른 게 검색창입니다.
네이버나 구글에 “84제곱미터 몇 평”이라고 입력하면 바로 환산 결과가 떠요.
면적 변환기를 활용하면, 전용면적, 공급면적 구분 없이 바로 계산이 가능하죠.
휴대폰만 있으면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 보세요.
⚠️ 꿀팁 : 네이버 면적변환기 사용해보기
5. 같은 84㎡인데 실사용 면적이 다른 경우
계약서나 청약은 제곱미터 기준, 가족이나 친구들과 대화할 땐 여전히 평수 기준이죠.
예를 들어 아파트에서 자주 언급되는 84㎡는 ‘전용면적’을 뜻하지만,
여기에 확장된 서비스 면적과 발코니 공간까지 포함하면 실사용 면적은 약 109㎡에 달합니다.
즉, 아파트 전용면적은 제곱미터 기준으로 서비스 면적 제외되어 표기되지만,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은 확장된 공간으로 그보다 더 넓은 셈이죠.
이런 이유로 아파트는 84㎡인데, 33평 면적이라면서 헷갈리는 고객분들이 있습니다.
반면에 오피스텔은 구조적으로 베란다나 확장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표시된 84㎡가 실제 사용하면 면적과 거의 동일합니다.
즉, 오피스텔 84㎡는 ‘체감도 진짜 84인 셈이죠.
이런 차이를 알고 있으면,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공간을 비교할 때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.
⚠️ 꿀팁 : 아파트 84㎡를 33평이라 부르는 건, 확장된 서비스면적 포함 때문이다.
-추천글 : 아파트면적 84㎡ vs 오피스텔 , 왜 다를가?
부동산 정보는 단위 이해부터 시작됩니다.
앞으로도 현실에 꼭 필요한 정보, 긍정적인 시선으로 전해드릴께요.
-추천글 : 연금으로 부족한 은퇴후50년 준비법
